시는 25일 "올해부터 2029년까지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한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연간 감축목표는 1,530톤이다.
시는 이를 위해 5년간 총 28억원을 투입해 RFID·감량기 설치 등 감량기반 확대, 가정·사업장 발생원별 억제 강화, 학생·시민 대상 교육 및 홍보 활성화 등 3개 분야 8개 세부 사업을 추진한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일명 전자태그로 불린다.
우선 '감량기반 확대'를 위해 공동주택 RFID 종량기를 3만600세대에 총 510대 보급한다. RFID 종량기를 통해 세대별로 음식물 배출량을 측정한 뒤 버린 만큼 수수료를 부과한다. 감량 효과가 뛰어난 것은 물론 시민들은 발급받은 카드를 사용해 음식물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음식점·집단급식소 등 음식물류폐기물 다량배출 사업장에는 감량기 15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감량기는 배출원에서 직접 건조·발효 등 방식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한다. 감량 효과가 크고, 남은 부산물은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
발생원별 억제 강화를 위해 자치구에서 추진 중인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 목표관리제 등 시민참여 정책도 확대한다.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와 사업장 목표관리제는 시민들이 스스로 가정과 사업장에서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해 노력하고, 지난해 대비 발생량이 줄어든 곳에 인센티브를 주는 감량정책이다.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공동주택에 대해서는 기존 인센티브인 수수료 감면과 상금 뿐만 아니라 시장 표창패도 수여할 계획이다.BIS(버스정보시스템)·전광판·엘리베이터 모니터 등을 활용한 우수사례 홍보활동도 추진할 방침이다.
사업장 목표관리제 확대를 위해 자치구별로 필수 참여그룹을 조성하고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이 많은 대형마트와 지역 푸드뱅크를 연계한 신선식품 기부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는 등 새로운 감량 정책도 선보인다.
정미경 시 자원순환과장은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은 시민들의 관심과 동참이 꼭 필요하다"며 "광주시는 자치구·유관기관과 협력해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길용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