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록관 제작 영화 ‘오월’, 5·18영화제 대상
사회

5·18기록관 제작 영화 ‘오월’, 5·18영화제 대상

5·18기록관 제작 영화 ‘오월’, 5·18영화제 대상

3D애니메이션으로 5·18민주화운동 재해석…세대 잇는 감동 선사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이 자체 제작한 단편영화 ‘오월’이 제5회 5·18영화제 대상작으로 선정됐다.

올해 영화제에는 총 150편의 작품이 출품됐다.

단편영화 ‘오월’은 현대적 감각의 연출과 세대 간의 기억을 섬세하게 연결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영화 ‘오월’은 21분35초 분량으로 3D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해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독특한 연출이 특징이다.

사진작가 민서가 딸 은지와 함께 어머니의 묘소가 있는 광주를 방문하며 이야기가 시작되며, 1980년 5월을 기록했던 어머니의 사진기를 통해 당시의 참상을 직면한다.

영화는 할머니에서 어머니로, 다시 손녀로 이어지는 여성 3대의 시선을 따라가며 5·18 당시 여성들의 역할과 의미를 부각시켰다.

이 작품은 국가유산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홍보 지원사업으로 지난 2023년 기록관에서 제작했으며, 현재 기록관 3층 영상실에서 수시 상영하고 있다.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은 “영화 ‘오월’은 5·18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에게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친근하게 전달하고 모두가 역사의 주체임을 상기시키는 매개체가 될 것”이라며 “영화로 재탄생한 5·18민주화운동은 그 의미의 지평을 확장하고 새로운 세대와 공감대를 넓히는 중요한 시도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윤승한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