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군인 노래’ 사용 유감”…5·18 기념재단, 정부에 항의
사회

“‘죽은 군인 노래’ 사용 유감”…5·18 기념재단, 정부에 항의

5·18기념재단이 18일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 기념식에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재단은 “5·18민주화운동은 1980년 계엄군의 살인적인 진압에 맞서 광주시민들이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의로운 항거다”며 “올해 정부 주관 기념식에서 묵념 시 ‘죽은 군인을 위한 노래’가 사용됐고, 헌화 도우미 역시 제복을 입은 군·경이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한 군인들을 배치한 것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재단은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중계된 화면 속 군인들의 복장과 장비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출동했던 계엄군과 흡사했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관련해 국가보훈부는 “5·18기념식에서 사용된 묵념곡은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곡으로 모든 정부 기념식에서 사용하며 최근 5년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사용됐다”고 반박했다.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주호 권한대행의 기념사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재단은 “기념사에서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 ‘진상규명 지속’, ‘기념사업법 제정’, ‘유공자 처우 개선’ 등 5·18의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어떠한 내용도 담기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국가보훈부는 “5·18기념식에서 사용된 묵념곡은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곡으로 모든 정부 기념식에서 사용하며 최근 5년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사용됐다”며 “헌화 도우미 또한 국가보훈부 소속 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으로 군인이나 경찰이 아닌 민간인이다”고 반박했다.

또한 “무장군인으로 지칭된 인력은 주요 인사를 경호하기 위한 경호 인력으로 45주년 기념식 경호 역시 예년 수준이었다”고 덧붙였다. 이수민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