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고속도로가 개통돼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가 수도권 등 다른 지역으로 보내지면, 광주·전남으로 이전할 기업이 있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에너지 자립 산업단지 조성 등 실질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치밀한 전략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경제성장의 대동맥,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대선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며 2030년까지 서해안, 2040년까지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추진을 약속했다.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는 전남과 전북, 충남 해상풍력 에너지를 수도권 등 주요 수요지로 송전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전기를 만드는 곳과 쓰는 곳을 잇는 에너지고속도로는 RE100·탄소중립·산업재편·에너지 안보를 통합한 국가 핵심 인프라 전략이다.
에너지고속도로는 또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도 꼽힌다.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지방)에서 쓰는 곳(수도권)으로 판매하면, 그 수익으로 지방이 발전할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실제 광주·전남은 태양광·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지만, 송전망 인프라 미비로 전기를 생산해도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데 한계에 직면해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9월부터 2031년 12월까지 호남 지역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허가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현 상황만을 고려하면 에너지고속도로는 광주·전남 재생에너지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단초가 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다만, 에너지고속도로가 지역 경제에 혜택만을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가 에너지고속도로를 타고 수도권으로 가면 어느 기업이 광주·전남으로 이전 또는 신규 건설을 하겠느냐는 우려 때문이다. 에너지고속도로로 전기를 가져올 수 있다면 굳이 지역으로 내려갈 이유가 없다는 해석에서다.
이 때문에 광주·전남은 이 후보의 에너지고속도로 공약에 대한 딜레마에 빠져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에너지고속도로 좋다. 하지만 지역에 마냥 이득이 될지는 고민해봐야 한다”며 “광주·전남에서 생산된 전기를 에너지고속도로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면 지역으로 기업이 내려오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에너지고속도로와 함께 남부권 에너지 자립 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경제 발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세분화된 공약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이재명 후보의 에너지고속도로 공약에 대해 결이 다른 대안을 제시했다.
이준석 후보는 전날 광주 방문 자리에서 “에너지고속도로를 만들어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를 수도권으로 보낼 게 아니라 부산과 전남·광주가 연대해 남부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역에서 소비해야 한다”며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로 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