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생 추경이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광주시와 전남도가 각각 153억원과 2,394억원의 연관사업 예산을 확보했다.
이번 추경예산은 재난대응 재원 확충, 통상·인공지능(AI) 지원, 민생지원 등을 위해 편성됐다.
광주시는 이번 추경에서 전략사업인 인공지능 예산 153억원을 최종 반영했다.
이에 따라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국가AI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컴퓨팅자원(GPU) 지원사업 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시 관계자는 “인공지능 예산이 요구액에 비해 충분하지 않아 아쉽지만, 정부의 ‘지역사업 전면 배제’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라도 반영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고 설명했다.
AI 예산과 함께 광주시·대구시 등 4개 광역시가 요청한 ‘도시철도 통합무선망철도 구축사업비’ 178억원도 반영, 도시철도의 안전운행 환경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전남도는 여객기 추락 참사 대응과 항공 안전 강화를 위한 무안·여수공항 안전시설(둔덕계량 설계·조류감시레이더 설치·기타 시설개선) 설치(35억6,000만원), 농수축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농수축산물 할인 지원(1,700억원) 등을 반영했다.
또 농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인 경영비 부담 경감을 위한 무기질 비료 가격 보조와 수급 안정(55억 예정), 소상공인·자영업자 소득증대를 유도하기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260억 예정), 여수국가산단 고용안정을 위한 산업위기지역 고용 충격 대응(50억원)도 포함됐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6일 “석유화학 위기 대응 등 지역산업과 관련된 예산이 다소 부족해 아쉽지만 부대의견을 통해 지원 근거는 마련했다”며 “2차 추경 대비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민생 안정과 지역 경제 회복이 확대되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